1인가구와 부동산시장
1인가구의 증가는 부동산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는 소형평수 아파트와 주택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정부도 1인가구등 다양한 유형의 주택에 대한 원활한 수급을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1인가구의 특성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더욱 중요해지고 이에 따라 부동산 투자전략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특히 지역별 특성에 따라 투자가치가 달라지고 있다.
1인가구 지역별 비중
1인가구 10가구중 4가구, 42.6%가 경기도(21.8%)와 서울(20.8%)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세 이하와 30대의 1인가구는 서울(56.6%)과 경기도(44.5%)의 비중이 가장 높다.
전체가구대비 1인가구 비중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대전, 서울, 강원도 순인데, 1인가구 비중은 대전이 38.5%로 가장 높고, 서울(38.2%), 강원(37.2%), 충북(37.0%), 경북(37.0%) 순서로 나타났다. 1인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울산(30.2%), 경기(30.2%) 등이다.
1인가구 연령대별 구성비
세종은 39세 이하 1인가구의 비중이 53.1%(29.2%+23.9%)인 반면, 전남은 60세 이상 1인가구의 비중이 51.7%(19.1%+32.6%)이다.
1인가구 유출입현황
1인가구의 1년 전 거주지 기준, 시도 간 이동자 중 유입이 유출보다 많은 순유입은 서울(45,098가구), 충남(3,888가구) 순이며, 유입보다 유출이 많은 순유출은 경남(14,028가구), 대구(10,670가구) 순서이다.
투자 시사점
1인가구의 지역별 특성을 분석해 보면 수도권 도시지역에 대한 집중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지역은 직주근접과 지속적인 수요, 투자가치 상승 가능성, 다양한 형태의 임대 수요, 교통망, 편의시설, 교육 및 문화시설이 주거 만족도를 높이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에 대해서
투자 관점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세밀한 정책 설계와
사회차원의 대응도
아주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1인가구와 부동산시장-부동산투자-부자레벨
1인가구 추이 통계청자료(23.12.12)에 의하면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4.5%인 750만 2천 가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인가구 626만 1천 가구(28.8%), 3인가구 418만 5천 가구(19.2%), 4인 이상 가구 382만
richlevel.tistory.com
소형주택과 국토교통부 24.1.10 대책-1인가구 주택공급확대
2024.01.29 - [재테크 정보와 부자 이야기 (by ANGEL5)] - 1인가구와 부동산시장-부동산투자-부자레벨 1인가구와 부동산시장-부동산투자-부자레벨 1인가구 추이 통계청자료(23.12.12)에 의하면 1인가구는
richlevel.tistory.com
'재테크 정보와 부자 이야기 (by ANGE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하고 사랑하라-일하는 고령자 통계-Work and love (0) | 2024.02.09 |
---|---|
한국 부자보고서2023-금융자산10억-한국부자기준-노블리스오블리제 (28) | 2024.02.08 |
부자들의 투자원칙-벤저민그레이엄-워런버핏 (30) | 2024.02.06 |
기대여명-기대수명-건강수명-최고의 재테크는 건강이다 (34) | 2024.02.05 |
소형주택과 국토교통부 24.1.10 대책-1인가구 주택공급확대 (41)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