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택도시보증공사3

안심전세앱app-안심전세포털-전세계약사기예방-hug주택도시보증공사 국토교통부, HUG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이 손잡고 만든 전세사기 예방 플랫폼 안심전세앱app! 안전한 전세계약일까? 확인은 안심전세앱App에서! 안심전세앱app에서 전세계약 전 필수로 확인해야 하는 정보를 한 번에 체크하자. 안심전세앱app으로 전세보증가입하고 전세사기 걱정 끝 ! 매매시세부터 전세가율까지 주택시세 통합 제공 * 전국 연립, 다세대, 아파트, 오피스텔 평형별 매매시세 제공 * 지역평균전세가율, 경매낙찰가율, 전세보증사고 현황 공개 * 시세정보를 토대로 적정 전세보증금 수준 진단 * 진단해 본 주택의 HUG 전세보증 가입 가능 여부 확인 * 신축빌라 준공 전, 후, 시세 제공 집주인의 숨겨진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 * 대면 없이 임차인 휴대폰으로 임대인 정보 조회 가능 (집주인 체납사.. 2024. 4. 1.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피해자구제결정가결부결적용제외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 가결·부결·적용제외 국토교통부는 지난 한 달 동안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전체회의를 통해 가결 1,073건, 부결 179건, 적용제외 110건, 이의신청 기각 66건을 전세사기피해자등으로 최종 가결하였다. 이중 110건은 보증보험 및 최우선변제금 등으로 보증금 전액 반환이 가능하여 요건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79건은 요건 미충족으로 부결되었다. 그간 위원회에서 최종 의결한 전세사기 피해자등 가결건은 총 14,001건(누계), 긴급 경・공매 유예 협조요청 가결건은 총 795건(누계)으로, 결정된 피해자등에게는 주거, 금융, 법적 절차 등 총7,688건(누계)을 지원하고 있다. 불인정통보를 받았거나 전세사기피해자등(특별법 2조4호나목・다목)으로 결정된 임차인은 이의신청이 가능하다.. 2024. 3. 22.
전세사기피해예방-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최대30만원환급 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환급) 사업을 확대하여 실시하여 더 많은 임차인들이 전세사기로부터 두텁게 보호받도록 하겠다고 한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전세계약 시 전세사기를 대비한 안전장치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을 하게 되는데 관련 사고 발생 시 보증회사에서 보증금반환을 대신하여 책임지는 제도이다. 보증기관으로는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SGI서울보증등이 있다. 보증기관에 가입하려면 보증료를 내야 하는 것이다. 舊) 보증료 지원사업 개요 보증료 지원사업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을 유도하여 전세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연소득 5천만원(신혼부부 7천만원)이하 청년층을 대상으로 ’23년부터 시행하고 있었다. 수도권 7억, 그 외지역 5.. 2024. 3. 20.